글
우리말 가꿈이 3기 2012. 10. 21. 23:575. 디지털 한글 박물관과 건립 중인 한글 박물관
한글 박물관, 이름은 익숙한데 가본적은 없다 싶으신 분들이 많을 거에요.
오늘의 포스팅은 지난 한글날편에서 한글에 대한 자부심을 한껏 뽐낸 것의 연장으로 한글 박물관에 대해서 이야기 하려고 해요.
왜 한글 박물관이라는 명칭은 어색하지 않은데 우리 중 누구도 가본 적이 없을까요?
그것은 바로 한글 박물관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우리 민족의 중요한 문화 유산들 중 하나인 한글의 존재에 대해 당연히 언제가부터 존재하던 것으로 여기고, 또 얼마나 소중히 생각하지 않았었는지 보여주는 한 예일지도 모른단 생각이 들어 씁쓸해졌어요. 사실 부끄럽지만 저도 그 동안 관심이 없기도 했었죠.
그래서, 한글을 사랑하는 사람들 몇 분이 모여서 현재 운영되고 있는 것이 디지털 박물관입니다.
제가 듣는 국어학 수업의 교수님도 이 디지털 한글 박물관에 일부 기여를 하셨다고 하시며 한글날을 맞아 수업시간에 살짝 자랑을 하시던 모습이 생각납니다 :-)
이 디지털 한글 박물관에서는 한글의 역사를 비롯해서 창제 원리 등이 진짜 박물관처럼 상세하게 설명이 되어있어요.
그러나, 이렇게 가상의 공간에만 한글 박물관이 존재한다는게 슬퍼지려던 차에 좋은 소식을 접했습니다.
한글 박물관이 현재 공사 중이며, 내년에 열 예정이라는군요!
지난 2011년 7월에 준공에 착수했다고 하는데.. 전 이제야 알았군요.
위치는 현재 용산 국립 중앙 박물관 의 부지 내라고 하는데요. 보다 많은 사람들이 한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또 공부 할 기회가 생긴 것 같아 기쁩니다.
문화 체육 관광부는 "한글박물관은 단순한 전시관의 개념을 넘어 한글을 테마로 한 소통의 장으로서 역할을 하게 됩니다. 한글의 생활화와 세계화를 위한 기반 시설이자, 시민들을 위한 복합 문화공간으로 꾸민다는 계획입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글 전시와 체험, 전문가들의 연구와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이 이곳에서 전개될 수 있도록 박물관을 설계했다" 고 설명했다고 하네요. 최근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한글은 그 과학성과 철학적 상상력이 높은 평가를 받는데, 이제는 국내에서도 한글의 우수성을 제대로 알리자는 분위기 속에서 한글 박물관을 건립했다고 합니다.
또, 박물관을 스토리 텔링 형식으로 재미있게 꾸민다고 해요. '체험형' 박물관으로, 문자자료는 물론 어린이들을 위한 놀이 교육,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열린 교육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한글의 세계화를 위해 해외 한글 학교의 관계자들 연수 기획도 진행 중이라고 하니 정말 기대가 됩니다!
내년에 한글 박물관이 열면 꼭 방문하고 싶네요!
- 참고한 기사는 '한글 확산의 전초기지' 한글박물관 내년에 완공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87680 입니다.
'우리말 가꿈이 3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우리말 가꿈이 3조 '셋별' 조별 활동 준비 (0) | 2012.11.04 |
---|---|
6. 자주 틀리는 우리말-3 (-던/-든) (0) | 2012.10.28 |
4. 한글날을 공휴일로, 우리말 가꿈이 번개 춤사위 (0) | 2012.10.14 |
3. 자주 틀리는 우리말-2 (데/대, 되/돼) (0) | 2012.10.06 |
2. 자주 틀리는 우리말-1(다르다/틀리다, 왠/웬) (0) | 2012.09.19 |
트랙백
댓글
글
우리말 가꿈이 3기 2012. 10. 14. 21:214. 한글날을 공휴일로, 우리말 가꿈이 번개 춤사위
사실 지난 9월 첫째주 부터 한글날을 맞이하여 광화문에서 번개 춤사위 연습을 쭉 해왔습니다.
여기서 번개 춤 사위란, '플래시몹'을 우리말로 바꾼 것인데요.
즉, 우리말 가꿈이들이 광화문 세종대왕상 앞에서 일제히 모여 춤을 추는 것이죠!
요즘 대세인 싸이의 강남 스타일을 개사하고, 안무도 한글을 형상화 하는 것으로 수정했습니다.
10/9인 한글날은 평일이라 조금 더 이른 10/7에 행사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한달에 걸친 연습 끝에 드디어 번개 춤사위 당일!
다 함께 아리아리를 외치고 출발했습니다.
아리아리 역시 화이팅을 우리말로 바꾼 것이에요 :-)
화이팅은 영어 어법에도 맞지 않는 기원을 알 수 없이 싸우자는 말인데,
아리아리는 친근하고 우리말이기까지! 화이팅 대신 많이 썼으면 좋겠어요.
세종 대왕 상 앞에서 진행한 번개 춤사위!
언론에도 소개가 되었어요.
SBS 모닝와이드
KBS 굿모닝 대한민국
이 행사를 진행한 것은 한글날을 축하하고자 하는 의미도 있지만 한글날이 공휴일로 지정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담고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모든 소리를 적을 수 있는 위대한 문자, 음소와 문자가 일치하는 문자, 배우기 쉬운 문자,
만들어지고 알려진 날을 아는 전세계의 유일한 문자인 한글!
우리는 이 날이 없었더라면 아직 다른 나라의 문자를 우리 말에 끼워 맞추며 어렵게 사용하고 있었을지도 모를 일이죠.
공휴일로 지정하든 그렇지 않든 이 날이 중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국가 차원에서 이 날을 중요한 국가적 기념일로 지정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엔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지난 2009년에는 11.9%의 국민이, 지난해인 2011에는 37%의 국민이 언제인지 모른다고 답했다고 하는데요. 공휴일 지정이 해제되면서 이처럼 중요한 한글날이 점점 잊혀져가고 있습니다. 그저 365일의 많은 날 중 하나로 인식되면서 중요성이 국민의 인식에서 희미해져 가는 것입니다.
저희의 이 작은 몸짓들이 고마운 한글, 그리고 한글날에 대해 모두 다시 생각해볼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
한글날을 공휴일로 제정하는 데에 국민적인 여론도 점차 커지고 있다고 하니, 한글날이 다시 공휴일이 될 날이 머지 않은 것 같아 기쁩니다. 그 날을 기대해도 괜찮은 거겠죠?!
'우리말 가꿈이 3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자주 틀리는 우리말-3 (-던/-든) (0) | 2012.10.28 |
---|---|
5. 디지털 한글 박물관과 건립 중인 한글 박물관 (0) | 2012.10.21 |
3. 자주 틀리는 우리말-2 (데/대, 되/돼) (0) | 2012.10.06 |
2. 자주 틀리는 우리말-1(다르다/틀리다, 왠/웬) (0) | 2012.09.19 |
1. 우리말 가꿈이 3기 활동 시작! (0) | 2012.09.15 |
트랙백
댓글
글
우리말 가꿈이 3기 2012. 10. 6. 13:563. 자주 틀리는 우리말-2 (데/대, 되/돼)
3. -데/-대
데와 대 역시 많이 혼동되는 말이죠!
틀린 용례를 보면 이러합니다.
오늘 싸이 광화문에서 콘서트 한데! (x)
친구가 그러던데 밥 먹고 바로 자는 거 안 좋데 (x)
내가 어제 탕웨이를 직접 봤는데 진짜 예쁘대 (x)
보통 대가 와야할 자리에 데를 써서 틀린 경우가 많습니다.
사전에서 '-대'의 쓰임을 살펴보면,
-대17 |
-데5 |
즉, '-데' 조항의 부가 정보 부분에 나와있듯,
본인이 직접 겪은 일을 남에게 전할 때는 '-데',
타인의 말을 전하는 경우 '-대'가 맞습니다.
오늘 싸이 광화문에서 콘서트 한대! (o) 친구가 그러던데 밥 먹고 바로 자는 거 안 좋대 (o)
내가 어제 탕웨이를 직접 봤는데 진짜 예쁘데 (o)
본인이 직접 경험한 사실이므로 '-데'가 맞습니다.
4. -되/-돼
'-되'는 '되다'의 어간이고, '-돼'는 '되다'의 어미가 바뀐 '되어'의 줄입말 입니다.
즉 '되'외 '되어'의 구분이 헷갈리는 것입니다.
사전에서 되다의 의미를 찾아보면, 쓰임이 무척 다양한데요.
그 중, 되와 돼의 구분 부분을 가져왔습니다.
부가정보 : ‘되어’, ‘되어라’, ‘되었다’에서 ‘되-’와 ‘-어’가 결합하여 줄면 ‘돼-’가 되어 각각 ‘돼’, ‘돼라’, ‘됐다’가 된다. ‘되-’가 ‘-어’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돼-’로 줄지 않는다. ‘어머니는 착한 사람이 되라고 말씀하셨다.’에서 ‘되라고’는 ‘되-’와 ‘-으라고’가 결합한 말이므로 ‘돼라’로 줄지 않는다. |
즉, 말을 해봤을 때 '되어'가 어울리는 곳이면 '돼'를, 아니라면 '되'를 사용하면 됩니다.
이와 비슷하게 '하'가 올 자리엔 '되'를, '해'가 올자리엔 '돼'를 쓴다고 구분하면 쉽습니다.
그렇다면 '-됬'과 '-됐'은 어떨까요?
됬은 우리나라 문법 상 존재할 수 없는 글자 입니다.
왜냐하면 '되었'의 줄임말이 '됐' 이기 때문이죠.
됬은 아예 쓰시지 않아야 맞습니다.
덧붙여, 문장의 마지막에는 '돼'만 올 수 있습니다.
안되겠죠? 안돼! 안돼요. 안됐습니다. 이렇게 사용할 수 있어요.
창문 열면 안되? (x)
창문 열면 안돼? (o)
그렇게 되다니 참 안됬군요(x)
그렇게 되다니 참 안됐군요.(o)
'우리말 가꿈이 3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자주 틀리는 우리말-3 (-던/-든) (0) | 2012.10.28 |
---|---|
5. 디지털 한글 박물관과 건립 중인 한글 박물관 (0) | 2012.10.21 |
4. 한글날을 공휴일로, 우리말 가꿈이 번개 춤사위 (0) | 2012.10.14 |
2. 자주 틀리는 우리말-1(다르다/틀리다, 왠/웬) (0) | 2012.09.19 |
1. 우리말 가꿈이 3기 활동 시작! (0) | 2012.09.15 |
RECENT COMMENT